Surprise Me!

[뉴스워치] 차기 日총리에 기시다…아베 영향력 확인

2021-09-30 0 Dailymotion

[뉴스워치] 차기 日총리에 기시다…아베 영향력 확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어제 해외 뉴스 가운데 가장 시선을 끌었던 건 기시다 후미오 전 일본 외무상이 새 자민당 총재에 당선돼 차기 총리에 오르게 됐다는 소식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세 번째로 큰데다 이웃나라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관심이 컸는데요.<br /><br />선거 후일담이 속속 전해지고 있는데, 아베 전 총리가 막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융합뉴스부 이봉석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어제 자민당 총재 선거 결과부터 얘기해주시죠.<br /><br />예상외로 기시다 후미오 전 외무상이 고노 다로 행정개혁상을 상대로 예상보다 낙승을 거뒀죠.<br /><br />또 아베 전 총리가 막후에서 행사한 영향력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선거 전 전망은 이랬습니다.<br /><br />고노가 1차 투표에서 1위에 올라서지만 과반을 얻지 못한다, 그래서 2차 투표까지 가서 기시다가 승리할 거라는 관측이 우세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1차 투표에서 의외로 기시다가 고노보다 한 표를 더 얻었고, 결선 투표에선 기시다가 고노보다 무려 87표나 더 많이 차지해 새 자민당 총재로 결정됐습니다.<br /><br /> "기시다 후미오가 당선자로 결정됐습니다."<br /><br />말씀하신 대로 선거 막전 막후가 일본 언론을 통해 속속 드러나고 있는데요, 기시다로 결정된 건 선거 이틀 전인 지난 월요일 아베 신조 전 총리와 아마리 아키라 당 세제조사회장의 회동 때라는 보도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아마리는 아소 다로 부총리와 함께 2차 아베 정권의 핵심 인사인데요, 아베가 아마리와 만나 기시다와 고노가 결선 투표에서 붙으면 기시다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아마리가 아소에게 찾아가 아베의 뜻을 전하자 아소는 "이걸로 정해졌군"이라며 중얼거렸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여론조사에서는 고노가 줄곧 1위였는데 국회의원 표심에 힘입어 기시다가 되면서 파벌 정치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기시다는 다음 달 4일 임시국회에서 제100대 일본 총리로 선출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때를 전후로 내각 인선도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시다는 어떤 인물인가요?<br /><br />온건파이면서 돌출 발언을 잘 하지 않는다는 성격이라고 하는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올해로 64세고요, 도쿄도 시부야에서 태어나 와세다대 법학부를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대학 졸업 후 일본장기신용은행에서 일하다 1987년 아버지 기시다 후미타케 당시 중의원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했습니다.<br /><br />정계 입문 계기와 관련해서는 사연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시다는 초등학교 저학년 때 산업성 관료였던 아버지를 따라가 미국에서 학교에 다녔는데요, 같은 반 학생들과 동물원에 놀러 갔다가 옆에 있는 백인 여학생이 싫은 기색을 보이며 기시다가 내민 손을 잡지 않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그게 1960년대였는데, 당시 인종차별을 겪은 기시다는 "이런 부조리를 없애고 싶다"고 생각했고 다양성을 중시하는 정치를 지향하는 계기가 됐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아베 1차 정권 당시 내각부특명대신으로 처음 입각했고, 2차 정권 때 약 5년간 외무상을 역임했습니다.<br /><br />외무상 재임 시 한동안 방위상을 겸임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고요, 2016년에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히로시마 방문을 주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2017년부터 3년 동안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을 지내며 당내 영향력을 넓혔습니다. 정무조사회장은 우리로 치면 정책위원장에 해당합니다.<br /><br />기시다 총재는 작년에도 총재 선거에 도전했었는데요, 스가 총리에 뒤져 2위를 기록했었습니다.<br /><br />정치 성향상으로 자민당 내에서 비둘기파, 온건 우파로 분류되고 있고, 외신들은 합의 도출자 '컨센서스 빌더'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민당 내 보수 본류로 불리는 고치카이 파벌의 계승자인데요, 고치카이는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 외교를 중시해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소속된 파벌이 한국 등 주변 국가들과 관계를 중시해왔다면 최악으로 떨어진 한일관계 회복에도 나설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? 어떤 전망들이 나오고 있나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기시다의 정치 성향 그리고 그가 속한 파벌의 특성을 생각하면 그런 기대가 나올 수 있는데요,<br /><br />하지만 전망이 그렇게 녹록지 않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자민당 총재 후보 토론회에서 기시다가 한 발언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한국 정부가 민감하게 생각하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관련해서 기시다는 "시기와 상황을 고려해 참배하고 싶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취임 후에 참배할 수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또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"한국이 국제법과 기존 합의를 존중해야 대화가 가능하다"면서 "공은 한국에 있다"고 발언했습니다.<br /><br />기시다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의 당사자이기도 한데, 이 때문에 한국에 더 불만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한국한테는 강경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. 왜냐면 위안부 합의를 한국 쪽에서 무효화시켰다는 오해를 갖고 있는 사람이기도 하고…"<br /><br />또 한일 정치 상황을 보면 일본 자민당은 당장 올해 안으로 예정된 중의원 선거에서 과반 목표를 위해 전력 질주를 하고 있고, 한국은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있어서 한일관계가 현안으로 떠오르기도 힘든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기시다는 또 북한과 현안인 납치 문제를 놓고도 정상 간 만남을 통해 해결을 모색한다는 아베·스가 정권의 노선을 따르겠다는 입장도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다른 나라들의 반응은 어떤가요. 특히 미국과 중국의 반응에 관심이 쏠리는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먼저 일본과 밀월관계를 과시하면서 중국에 대한 포위망을 강화하고 있는 미국인데요, 조 바이든 대통령은 기시다 차기 총리 아래 일본과 협력을 강화하고 싶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미일 동맹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을 직접 거론하진 않았지만 공동 견제하자는 발언도 했는데요, "미일 동맹이 인도·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보, 번역의 주춧돌"이라고 말한 겁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보통 미일 동맹은 코너스톤, 즉 주춧돌, 한미동맹은 린치핀, 핵심축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선거 결과에 주목한...

Buy Now on CodeCanyon